컨텐츠 정보
- 작성일
본문
민주당대표로 선정된 정 청래의원의 첫 발언,
난 야당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으며 내란에 대한 진정한사과가 없이는 악수를 하질 않겠다.
악수란 사람과 하는것.
그 발언으로 파장이 너무컸다.
서로 죽이고 사는 전쟁중에도 대화는 하는데 대화를 사전 끊는 강경발언.
그런 강경 발언이 누굴 위한 발언였을까?
혹시, 자신을 당대표로 선출해준 <개딸>들에 대한 화답였을가?
야당대표시절의 강경한 발언을 쏟아부었던 이 재명 대통령도 막상 대통령이 되니 아무리 잘 할려해도
야당의 협조가 없이는 한 발자욱도 나갈수 없다는 현실을 인식했을것.
여야 대표가 모두 강경 발언으로, 직선으로 나가서 과연 정치가 협치가 이뤄질까?
언제 서로간에 악수를 할수 있을까?
어젠,
이대통령을 가운데 두고서 서로간에 악수를 했다.
진정한 협치를 위한 악수여야 하는데 과연 그 악수가 진정한 악수였을까?
두고 보면 알일.
국정현안을 서로간에,얼굴을 맞대고 협력하고 밀어줘야 하는 사항인데...
국회의 다수란 막강한 힘을 이용해 소수인 야당을 무시하고 모든 것을 힘으로 밀어붙인다면
못할일 없지만.....
그 후의 댓가는 크다.
국민들은 주시하고 있다.
어느 당이 잘못하고 있는걸 의식있는 국민이라면 다 아는 사실인데 그걸 무시하다간 앞으로의
국민의 선택엔, 가혹한 댓가를 받게 된단것은 역사가 말해주고 있는거 안다.
다수당일때, 더욱 민심을 중시하고 민의가 바라는 데로 가야 한다.
오만은, 늘 댓가가 따른다.
지금의 현상은,
민주당의 의도대로 맘대로 밀어 붙일수 있어 맘만 먹으면 어떤 입법도 할수 있다.
그래서 위헌요소가 있는 <특별 재판소>설치도 공공연히 나오고 있는거 아닌가?
검찰청을 페지하고, 수사와 기소를 둘로 나눠 법무부아닌,. 행안부에 둔단 것도 그렇긴 하지만...
경찰의 수사에 대한 <보완수사>가 어떤식으로 이루어 질지 주목된다.
미지근한 경찰의 수사를 한번 더 걸러줌으로 국민의 권익을 한번 더 챙겨주는 의미의 이 검찰의 보완수사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인데 과연 어떻게 이뤄질지?
이런 중대한 사항은 각계의 법조인들과 공청회 같은것을 거쳐 결정하면 좋을거 같은데...
-추석전에 마무리 짓겠다는 정 대표의 말.
전광석화처럼 빨라야 모든게 좋은건 아니다.
모든 기준은, 국민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보다 촘촘하게 그물막을 쳐서 어떻게 해야 국민이 더 많은 피해를 막을수 있을까?
핵심 아닌가?
그래서 협치가 필요하고 <보완수사>는 어떤 부서에서 하든 꼭 존치해야 하는 제도다.
만약, 미숙한 수사로 억울한 일을 당한 피해자는 누구에게 호소한단 말인가?
여야는 힘의 대결이 아닌, 진정한 민의를 위한 협치가 되어야 한다.
국민의 안전과 행복은 전적으로 위정자의 정치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 아니다.
진정한 협치를 위한 여야악수였어야 진정한 악수다.
정치는 단막극으로 끝나는 쇼가 되어선 안된다.
난 야당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으며 내란에 대한 진정한사과가 없이는 악수를 하질 않겠다.
악수란 사람과 하는것.
그 발언으로 파장이 너무컸다.
서로 죽이고 사는 전쟁중에도 대화는 하는데 대화를 사전 끊는 강경발언.
그런 강경 발언이 누굴 위한 발언였을까?
혹시, 자신을 당대표로 선출해준 <개딸>들에 대한 화답였을가?
야당대표시절의 강경한 발언을 쏟아부었던 이 재명 대통령도 막상 대통령이 되니 아무리 잘 할려해도
야당의 협조가 없이는 한 발자욱도 나갈수 없다는 현실을 인식했을것.
여야 대표가 모두 강경 발언으로, 직선으로 나가서 과연 정치가 협치가 이뤄질까?
언제 서로간에 악수를 할수 있을까?
어젠,
이대통령을 가운데 두고서 서로간에 악수를 했다.
진정한 협치를 위한 악수여야 하는데 과연 그 악수가 진정한 악수였을까?
두고 보면 알일.
국정현안을 서로간에,얼굴을 맞대고 협력하고 밀어줘야 하는 사항인데...
국회의 다수란 막강한 힘을 이용해 소수인 야당을 무시하고 모든 것을 힘으로 밀어붙인다면
못할일 없지만.....
그 후의 댓가는 크다.
국민들은 주시하고 있다.
어느 당이 잘못하고 있는걸 의식있는 국민이라면 다 아는 사실인데 그걸 무시하다간 앞으로의
국민의 선택엔, 가혹한 댓가를 받게 된단것은 역사가 말해주고 있는거 안다.
다수당일때, 더욱 민심을 중시하고 민의가 바라는 데로 가야 한다.
오만은, 늘 댓가가 따른다.
지금의 현상은,
민주당의 의도대로 맘대로 밀어 붙일수 있어 맘만 먹으면 어떤 입법도 할수 있다.
그래서 위헌요소가 있는 <특별 재판소>설치도 공공연히 나오고 있는거 아닌가?
검찰청을 페지하고, 수사와 기소를 둘로 나눠 법무부아닌,. 행안부에 둔단 것도 그렇긴 하지만...
경찰의 수사에 대한 <보완수사>가 어떤식으로 이루어 질지 주목된다.
미지근한 경찰의 수사를 한번 더 걸러줌으로 국민의 권익을 한번 더 챙겨주는 의미의 이 검찰의 보완수사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인데 과연 어떻게 이뤄질지?
이런 중대한 사항은 각계의 법조인들과 공청회 같은것을 거쳐 결정하면 좋을거 같은데...
-추석전에 마무리 짓겠다는 정 대표의 말.
전광석화처럼 빨라야 모든게 좋은건 아니다.
모든 기준은, 국민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보다 촘촘하게 그물막을 쳐서 어떻게 해야 국민이 더 많은 피해를 막을수 있을까?
핵심 아닌가?
그래서 협치가 필요하고 <보완수사>는 어떤 부서에서 하든 꼭 존치해야 하는 제도다.
만약, 미숙한 수사로 억울한 일을 당한 피해자는 누구에게 호소한단 말인가?
여야는 힘의 대결이 아닌, 진정한 민의를 위한 협치가 되어야 한다.
국민의 안전과 행복은 전적으로 위정자의 정치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 아니다.
진정한 협치를 위한 여야악수였어야 진정한 악수다.
정치는 단막극으로 끝나는 쇼가 되어선 안된다.
관련자료
댓글 2
/ 1 페이지